쓰레기의 반격- 왜 지구의 쓰레기는 줄어들지 않는가 ‘눈 앞에서만 치웠을 뿐, 사라지게 한 적이 없다!’~ 화제의 사회 신간









전 세계 가정에서 1초마다 약 70톤의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1초마다 지구에서 가장 큰 동물인 참고래만큼의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쓰레기통의 뚜껑을 덮고 나서 벌어지는 일들을 모르고 있다. 우리는 가정 쓰레기 분리수거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해 왔는데, 가정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는 한 지역에서 배출하는 전체 쓰레기의 10%에도 못 미친다. 지구촌 쓰레기의 대부분은 자원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눈앞에 있는 가정 폐기물에만 초점을 맞추면 쓰레기 문제를 결코 해결할 수 없다.
지구촌 쓰레기 문제는 성장 위주의 경제정책 때문에 더 심각해지고 있다. GDP(국내총생산)가 증가하면 GDW(국내 쓰레기 총생산)도 증가한다. 세계 경제가 성장하면서 생산이 늘어 현재 매년 약 1,000억 톤의 자원이 지구의 지각에서 추출된다. 부피로 따지면, 지구 적도 둘레에 10m 너비로 275m 높이의 벽을 쌓을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양이다. 가벼운 티셔츠 한 장을 만드는 데 7kg의 원자재, 중량이 200g에 불과한 스마트폰 하나를 만드는 데 200kg에 달하는 원자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 초기 단계에서부터 자원 소비를 줄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은 토마토, 티셔츠, 알루미늄캔, 플라스틱, 자동차, 스마트폰 등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는 6가지 소비재를 예로 들어, 이들 소비재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들, 즉 자원의 소비 발자국(material footprint)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지구촌 쓰레기 문제의 근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6가지 소비재가 생산 및 소비되고 쓰레기통에 버려진 이후에 벌어지는 일들을 파헤치기 위해 이집트에서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내몽골, 브라질과 세네갈까지 세계 곳곳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지하에 있는 새로운 자원을 채굴하기 전에 불필요한 자원을 채굴하고 있는지, 채굴한 자원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지를 살펴야 하고, 유통기한을 넘겨서 폐기해야 할 것들만 버리고, 재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는 최대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려면 상당한 경제 활동과 노동력을 이 프로젝트에 투입해야 하는데, 그로 인해 지구촌에 새로운 일자리가 다수 창출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