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사랑이 있는 그대로 전해지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사랑이 저절로 전달되는 건 아니다. 전달되는 것은 감정이다. 사랑의 행위가 아니라 사랑의 감정인 것이다. 사랑의 감정은 말을 통해 전해지고, 부모의 말을 통해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고 느낄 때 자녀는 사랑을 전달받는다.
--- p. 32
우리의 부모 세대에게 자식 사랑은 행위였다. 감정이 아니었다. 땅도 팔고 집도 팔아서 자녀를 뒷바라지하는 희생이, 내가 먹고 싶어도 참고 자식 입에 맛있는 음식 넣어주는 헌신이 사랑의 행위였다. 그러나 그런 행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감정이 표현되지 않으면 사랑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자식 자랑하면 팔불출이라며 관념에 사로잡혔던 우리의 부모. 희생과 헌신의 사랑을 주면서 정작 사랑의 감정은 숨겼다. 남 앞에서는 더 엄격하게 대했다. 습관이 되어 버릴까봐 한 치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았다. 더 잘하라고 날마다 혼냈다. 이런 사랑은 아이들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사랑의 감정을 속으로 감췄기에 아이는 사랑받았다고 느끼지 못한다.
--- p. 35
실수할 때 가장 절망하는 것은 바로 아이 자신이다. 부모는 상황에 몰두하고 있어서 미처 아이의 절망을 보지 못한다. 그런 상황을 만든 것이 아이라고 생각해 아이를 탓하게 된다. 실패로 이미 좌절해 있는데 부모의 책망이 더해진다. 아이는 더욱 비참해지고 부모와 거리가 멀어진다. 반대로 실수를 용납하고 위로할 때, 아이는 감동한다.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느낀다. ‘네가 성공하지 못해도, 실패해도 변함없이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 p. 63
아이는 부모에게 대항하면 안 될까? 된다. 부모의 말에 무조건 순종해야 할까? 그렇지 않다. 아이도 자기 생각이 있다. 부모와 다른 주장이 있을 수 있다. 의견이 부모와 다를 때 충돌 할 수 있다. 부모와 자녀는 동등하게 생각을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나는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기도 전에 화를 냈다. 부모에게 대들면 안 된다는 신념이 나를 움직였던 것이다.
--- p. 78
상담실에 찾아오는 부모들 중 대부분은 아이와의 관계가 왜 나빠졌는지 모른다고 말한다. 아이가 왜 부모에게 입을 닫고 짜증을 내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아이에게서 원인을 찾으면 답은 없다. 답은 부모 자신에게 있기 때문이다. 성장 과정을 통해 나에게 굳어진 신념은 무엇인지, 그 신념이 지금 내 삶과 아이에게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 점을 먼저 알게 된다. 아이와의 관계를 푸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내가 물려받은 신념을 절대적으로 옳은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지는 않은가 살펴보자. 그래서 내 아이에게도 그것을 강요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보자.
--- p. 79
상대방의 말이 맞다. 충분히 알겠다. 그런데 받아들이고 싶지는 않다. 머리에서는 인정하는데 가슴에서는 거부한다. 왜일까? 어떤 이유가 있을까? 감정이 상했기 때문이다. 엄마의 조언이 잔소리가 되는 이유도 같다.
엄마들은 아이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많은 조언을 한다. 아이에게 좋은 방법을 제시한다. 그런데 아이는 행동을 바꾸지 않는다. 엄마는 더 강하게, 더 자주 조언을 한다. 그럴수록 아이는 아예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는다. 엄마는 아이를 가장 사랑하며 진심으로 걱정해주는 사람이다. 그 엄마의 조언을 아이는 어쩌자고 거절하는 것일까?
엄마의 조언을 거절한다면 아이는 삶의 방향을 잃는다. 난관에 봉착했을 때 부모 대신 다른 누군가를 찾아야 한다. 힘겨운 삶을 살아야 한다.
‘아이의 손을 놓지마라’의 저자 고든 뉴펠트는 아이들의 또래지향성을 현대사회의 병폐라고 말했다. 또래지향성이란 또래들이 부모를 대신하여 아이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행사하는 현상을 말한다.
--- p. 161
자세히 보기
https://m.yes24.com/Goods/Detail/63854349